맞춤법

'얻다 대고'/'어따 대고' 어떤 것이 맞을까?

_반디 2021. 12. 3. 22:24

'얻다 대고' 그리고 '어따 대고' 

많이 틀릴 수 있는 맞춤법이다.

헷갈리는 것보다 틀리게 쓰고 있다는 것을 아예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는 맞춤법이다.

'얻다 대고' vs '어따 대고' 무엇이 맞을 것으로 생각되는가?

바로 '얻다 대고'가 맞다.

'얻다 대고'에서 '얻다'는 '어디에다'의 준말이다'

한마디로 '얻다 대고'는 '어디에다 대고'가 줄어든 것이다.

헷갈리는 맞춤법 중 일부는 말이 줄어들면서 소리나는대로 쓰는 것이 맞는가 아닌가로 헷갈리게 되는 것 같다.

야! 너 얻다 대고(어디에다 대고) 반말이야! 똑바로 해! 라고 할 때 쓸 수 있다. (ㅋㅋㅋㅋ)

이왕 화낼 때 제대로 써보자.

'어따 대고 반말이야!'라고 하지 말고

'얻다 대고 반말이야!'라고 하자.

그렇다면 '어따'는 없는 말인가?

아니다! 있는 말이다.

다만 '얻다 대고'라고 쓸 때 '어따 대고'라고 쓰는 것이 아닐 뿐이다.

'어따'는 감탄사로 무엇이 몹시 심하거나 하여 못마땅해서 빈정거릴 때 내는 소리라는 뜻을 갖고 있다.

어따... 나보다 나이가 많으신가 반말을 하네? 라고 할 때 쓰이지 않을까.. 

'어따'를 따로 써 본적이 없어서 어떤 예문이 있을까 네이버 국어사전을 찾아봤더니

어따, 잔소리 좀 그만해라는 예문이 있다.

참조어로 '아따'가 있다.

'얻다 대고'를 검색하다가 보게 된 여러 뉴스들을 봤는데...

이것은 오답률이 상당히 높은 맞춤법이라고 한다.

나도 우연한 계기로 알게 되었었는데 상당히 놀랐었던 맞춤법이다.

이제라도 알아서 다행이고 이 포스팅을 쓸 수 있어 좋다.

이 포스팅을 보고 계신 여러분도 놀랄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 앞으로 잘 사용해주셨으면 참 좋겠습니다 :)

아래는 내가 본 뉴스 중 일부 링크다!

https://www.nocutnews.co.kr/news/4857342

 

'어따 대고' 반말? vs '얻다 대고' 반말?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9일 한글날을 맞아 한 설문조사에서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찾아내는 8가지 문항 중 절반 이상을 맞힌 것은 단 3문항에 그쳤다. 특히 '유도신문' 단어를 맞힌 응답자는 23%에

www.nocutnews.co.kr

www.ccdailynews.com

 

[1분 우리말 퀴즈] 어따 대고 VS 얻다 대고 - 충청일보

[충청일보 박지영기자] 매일 쓰는 우리말이지만 쓰면서도 헷갈리는 우리말. 1분 우리말 퀴즈에서는 틀리기 쉬운 단어나 어색한 표현방법을 퀴즈로 만들었습니다. 여러분의 우리말 실력은 어느

www.ccdailynews.com

 

 

* 공감과 응원의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 오타, 잘못된 내용 또는 궁금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무단 복사는 금지합니다. 꼭 지켜주세요!

반응형